달력

7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연근전과 묵두부전

재료

만드는 법

연근전


연근 200g, 밀가루 1/2컵, 식용유 2큰술, 식초 1작은술, 소금 약간, 양념장(진간장 1큰술, 통깨 약간)

① 연근은 통통한 것으로 선택하여 깨끗하게 흙을 씻어내고, 껍질을 벗기고 도톰하게 썰어서 식초물에 담근다.
② 냄비에 물을 넣어 끓기 시작하면 식초를 넣고 준비해 둔 연근을 살짝 삶아서 소쿠리에 받쳐 둔다.

③ 준비한 연근에 마른 밀가루를 묻혀 두고 지짐옷을 만든다.

④ 팬에 식용유를 넉넉히 두르고 달군 다음 ③의 연근을 지져낸다.

묵두부전

청포묵 1모, 도토리묵 1모, 두부 1모, 녹말가루 1컵, 식용유 1/2컵, 소금 1큰술, 양념장(진간장 3큰술, 고춧가루 1작은술, 들깨소금 1큰술, 들기름 1작은술, 식초 1작은술)

① 두부와 묵은 0.5Cm 두께로 썰어서 마른 행주 위에 놓고 소금을 뿌려 간을 해 불기를 뺀다.

② 두부와 묵에 녹말가루를 충분히 묻혀서 두면 물기가 촉촉하게 스며 녹말옷이 입혀진다.

③ 팬을 달구어 식용유를 넉넉히 두르고 묵과 두부를 노릇노릇하게 지져내어 뜨거울 때 양념장을 곁들인다.

▶ 묵이나 두부는 일반적으로 흔한 식품이며 육식을 금하는 사찰의 찬으로 매우 중요하다.

▶ 묵으로 전을 부치는 것은 일반 가정에서는 흔하지 않으나 절에서는 자주 해먹는 음식이다. 묵전은 맛이 '무미'라 할 정도로 담백하여 하늘하늘한 감촉으로 먹으며 초간장과 곁들여야 맛이 난다.

재료

만드는 법

'사찰음식과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김치와 연근지짐  (0) 2008.01.19
매작과와 다식  (1) 2008.01.13
버섯잡채와 느타리버섯탕  (2) 2007.12.29
연근조림과 우엉구이  (1) 2007.12.23
참가죽찹쌀옹심이와 말린취나물  (1) 2007.12.16
Posted by 백송김실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