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낭만과 亡國 설움 담겨있는 ‘명소’
부여 고란사와 낙화암 |
지금 부여문화재연구소 건물은 유명한 건축가 김수근의 작품으로 전에는 박물관으로 쓰였다. 시멘트 건물이어도 지붕이 백제토기의 배 모양을 본떠 날렵하게 곡선을 긋고 있고, 지붕 복판을 둥글게 뚫고 유리로 막아 자연채광을 유도하는 등 1970년대 건축물 중 예술성에서 단연 압권이다. 아마도 좀 더 있으면 문화재로도 지정되지 않을까 하는 게 내 생각이다. 이 부여문화재연구소 건물을 오른쪽으로 두고서 부소산을 오르는 등산로가 있다. 구문매표소에서 출발하여 부소산을 빙 둘러 내려오는 길이다. 지금 우리의 목표인 고란사로만 가려면 구드래나루터 선착장에서 배 타고 들어가는 게 편하겠지만, 이렇게 산을 타고 고란사로 내려가는 길도 놓치기 싫은 코스다. 그만큼 부소산의 등산로는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해준다. 부소산에서 아쉬운 게 있다면, 고란사 외에 고찰의 터가 제법 남아 있는데 거의 안내가 되지 않고 있는 점이다. 절터는 절터대로 의미가 있는 것이니 여기를 조금 손만 보면 지금처럼 단순한 등산코스도 다양하게 개발되는 부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텐데. 광장을 거쳐 한참을 가다가 강변에 세워진 백화정(百花亭) 누각에 올라 잠시 백마강을 내려다보며 쉬었다. 마침 부여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소풍 와 좁은 공간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그 틈을 비집고 겨우 누각에 올라 바라보니 지대가 높아 백마강의 기다란 모습은 잘 보여도 절벽에 가려서 건너편 기슭은 잘 보이지 않는 흠이 있다. 누각을 내려오다가 화가 친구는 끼리끼리 모여 재잘재잘 거리는 아이들에게 한눈을 팔고 걷다가 그만 발목을 접질렸다. 꽤 아픈지 한참을 찡그리던 화가는 다행히 그렇게 심하지는 않아서 절뚝거리기는 해도 걸을만한지 어설프게 발길을 뗀다. 우리는 초등학생들에게나 관심을 갖다니 ‘변태’아니냐고 놀려주었다. <사진> 고란사. 백마강에 맞닿은 절벽 위에 세워져 있다. 다시 조금 걷다가 어디쯤 왔을까 하며 허리를 펴고 둘레를 바라보니 북쪽 기슭인 왼쪽으로 길이 꺾인다. 이어서 곧바로 백마강 허리 한자락이 시야에 들어오나 싶더니 이내 고란사(皐蘭寺) 마당이 내려다보인다. 그다지 넓지 않은 앞마당에 들어서 우선 법당 앞에 서서 합장을 한 다음 주위를 둘러보았다. 법당 옆으로 요사가 붙어 있고, 법당 오른쪽으로 자그마한 종각이 있다. 그 외로는 법당 뒤 오른쪽으로 근래에 새로 지은 삼성각이 더 있을 뿐이다. 백마강의 굵은 허리를 보러 난간까지 다가갔다. 바로 눈앞에 신기하게도 옛 그림 속에나 나오는 황포돛단배 한 척이 나타나 느릿느릿 지나가가고 있는 게 보인다. 백마강을 가로질러 고란사 앞 선착장까지 오가는 유람선이 정기적으로 다니고 있지만, 또 다른 관광 차원에서 황포돛단배가 관광 한번 야무지게 하자고 마음먹은 승객들을 태운 채 유유히 강가를 지나고 있는 것이다. 유람선을 타고 강 한번 건너는 편도삯이 적잖게 3,000원. 저 황포돛단배는 그보다 훨씬 비싸건만 외지에서 온 관광객들은 낡은 유람선보다는 그 옛날 부여사람들이 된 기분으로 돛배를 더 선호하는 모양이다. <사진> 백마강을 지나는 황포돛단배. 그 옛날 백제에서도 백마강은 풍요를 가져다주는 젖줄이자 교통의 요충이었을 것이다. 백마강은 낙화암에서 다시 보기로 하고 다시금 경내에 눈을 돌렸다. 법당 뒤쪽은 별로 공간이 많지 않은 채 바로 산자락에 바위 절벽이 붙어 있는데 그 바위 아래에 샘물이 고여 있다. 이게 바로 백제 의자왕이 즐겨 떠먹었다는 바로 그 유명한 고란사 약수다. 이 샘물이 전하는 것처럼 불로장생의 명약이라면 의자왕뿐만 아니라 백제의 여러 임금들이 즐겨 마셨을 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필 의자왕이 유독 강조된 것은 그가 망국지군(亡國之君)인 탓도 있을 것 같다. 정사는 돌보지 않고 화려함과 방탕만을 좇다 나라를 뺏겨버린 이미지의 의자왕이기에 그의 사치 중 하나로써 고란사 샘물 길어먹기가 그에게 낙인처럼 찍혀버린 게 아닌가 싶은 것이다. 불교가 숭상되었던 백제에서 정자를 절로 쓸 리 있겠는가. 또 내불전이라는 소리도 이상하기는 마찬가지다. 비록 여기서 궁이 지척이긴 하지만 굳이 강을 건너와야 하는 이 자리에 하필 내불전을 지을 까닭도 없기 때문이다. 내불전은 글자 그대로 궁궐 안에 있어야 이치에 맞는다. 아마도 백제왕 또는 왕실과의 연관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려다 보니 나온 억측이 아닌가 싶다. 내 생각엔 고란사가 창건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백제의 안위를 위해서였을 거라고 보인다. <사진> 서복사지. 부소산 어귀에 자리한 백제 왕실의 기복사찰로, 소조불상, 벽화 편 등이 발견되었다. 드라마틱하게 보이기도 하는 이 얘기는 하지만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우선 백제라는 나라에 3,000명이나 되는 궁녀가 있을 턱이 없다. 아마도 의자왕의 패륜을 강조하고자 만들어진 말일 것이다. 역사에서 패자는 사실과 상관없이 항상 오명을 뒤집어쓰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낙화암이 백제 망국의 설움과 회한을 상징하는 존재가 된 사정은 충분히 이해되는 일이다. 스케치에 여념이 없는 화가 곁에서 작가 친구는 나지막이 ‘고란사의 밤’을 부른다. 고란사 마당에서 점점 짙은 어둠이 내려앉는 백마강을 바라보며 우리는 그 옛날 백제 사람들도 우리와 같이 이러구서 백마강의 노을을 바라보았겠지 하면서 서로를 쳐다보며 웃었다. 우리가 마치 백제 사람인 것 마냥. |
'불교유적과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라난타, 백제 최초의 사찰 세우다 (0) | 2009.09.12 |
---|---|
영광 법성포와 마라난타사 (0) | 2009.08.29 |
백마강 굽이쳐 흐르는 백제불교의 중흥터 (0) | 2009.08.15 |
위덕왕, 죽은 아들 위해 사찰 창건 (0) | 2009.08.08 |
묵호자 스님, 신라에 정법당간을 세우다 (0) | 200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