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부처님 진신사리’ 중생과 함께…

신라 자장율사 금강계단 짓고

중국서 가져온 가사.사리 모셔

부처님 없는 대웅전 법당 특징

통도사 대웅전.

양산 통도사가 불보종찰로 불리는 까닭은 이곳에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졌기 때문이다. 통도사에 부처님 사리가 봉안된 것은 신라 선덕여왕 때로, 중국 오대산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돌아온 자장율사(590~658)가 가사(袈裟)와 사리를 모셔온 이후부터다. 스님은 646년 통도사에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조성하고 그 안에 사리와 가사를 봉안했다고 한다.

선덕여왕 재위 말년에 조성된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 5칸이며, 다포양식이다. 지붕은 앞면을 향해 T자형을 이룬 특이한 구조다. 묵서명에 따르면, 당우가 현재 모습을 갖게 된 때는 조선 인조 23(1645)년으로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다시 지은 것이다. 대웅전 바깥쪽 기단과 계단에만 창건 당시의 흔적이 남아있는데, 모두 통일신라시대의 조각양식을 보인다. 우선 기단부에는 연화문과 용머리문양이 선명하게 남아있고, 또 돌계단과 계단 양쪽 소맷돌 부분도 화려한 꽃으로 장식돼 있다. 자칫 지나치기 쉬운 꽃살문도 찬찬히 살펴보면 뜻밖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문을 가득 채운 갖가지의 꽃모양 조각들이 아름다움을 더한다.

통도사 대웅전의 가장 큰 특징은 법당 안에 부처님이 모셔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금강계단에 부처님 진신사리가 봉안돼 있기 때문이다. 다만 큰 창을 만들어 내부에서 뒷편 금강계단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해 놓았다. 법당 외부 사면에도 각각 다른 이름의 편액이 걸려있는데, 동쪽은 대웅전, 서쪽은 대방광전, 남쪽은 금강계단, 북쪽은 적멸보궁이라고 돼 있다.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대웅전도 우수하지만, 통도사를 대표하는 성보는 단연 금강계단이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담고 있어 부처님이 중생들의 곁에 함께 있음을 상징하는 금강계단은 한국불교의 계단사(戒壇史)와 건축사에도 중요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대웅전 뒷편의 금강계단.불교신문 자료사진

지금의 금강계단은 고려.조선시대를 거쳐 모두 일곱 차례 수리한 것이다. 금강계단의 초층은 너비가 약 990㎝, 총높이가 약 300㎝이다. 이중의 넓은 방단(方壇) 중심에는 직경 150㎝정도의 복련과 앙련의 받침 대석을 놓고 그 위에 석종(石鐘) 모양의 부도를 안치해 놓았다. 사리는 석종형 부도 안에 봉안돼 있다.

부도의 표면에는 비천상과 사리함 등이 조각돼 있다. 2층으로 돼 있는 기단의 위쪽에는 4면마다 비천상이 새겨져 있고, 하단의 4면에는 여래상과 보살상 조각들이 남아 있다. 또 석단 네 귀퉁이에는 계단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조각해 놓았다.

한편 계단은 본래 계를 주거나 계를 설하는 단을 말하는데, 금강계단에는 다이아몬드처럼 단단한 마음으로 계를 지켜야한다는 뜻이 숨겨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장율사가 만든 통도사 금강계단이 최초이며, 금산사 방등계단과 달리 출가자만 계를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현경 기자 eonaldo@ibulgyo.com

[불교신문 2324호/ 5월5일자]

'불교유적과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원사 노사나불괘불탱  (0) 2009.02.21
갑사 삼신불괘불탱  (0) 2009.02.14
표충사 청동함은향완  (0) 2009.01.31
화엄사 각황전  (0) 2009.01.24
금산사 미륵전  (0) 2009.01.17
Posted by 백송김실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