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日 月 年<事例 132>
甲 戊 甲 戊
寅 午 寅 子
庚 己 戊 丁 丙 乙
申 未 午 巳 辰 卯
戊土生寅月寅時, 土衰木盛, 最喜坐下午火, 生拱有情, 正謂衆殺橫行, 一仁(印?)可化, 子水之財, 生寅木不沖午火, 其情協, 其關通, 尤羨運走南方火土, 所以早登黃甲出仕馳名.
戊土日主가 寅月 寅時에 태어나 土가 衰하고 木이 盛하여 가장 반기는 것은 午火를 아래에 깔고 앉아 있는 것으로 寅木과 有情하게 合하여 生하는 것이다. 바르게 이야기하면 殺이 무리를 이루어 橫行하나 하나의 어진(印星) 것으로 化하였고 할 수 있다. 財星인 子水는 寅木을 生하느라 午火를 冲하지 않고 그 和合하는 情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더욱 넉넉한 것은 運이 南方의 火 ․ 土運이다. 바로 이러하므로 일찍이 科擧에 及第하고 黃甲으로 벼슬을 시작하여 이름을 날렸다.
[정단註]
時 日 月 年<事例 132>
甲 戊 甲 戊
寅 午 寅 子
56 46 36 26 16 6
庚 己 戊 丁 丙 乙
申 未 午 巳 辰 卯
指數法에 의하면 火4.3 土1.9 金0 水1.5 木5.7이다. 木이 太旺宗主이니 剋法取用으로 木體金用이 되는데, 金는 부재하여 불용하고 土도 지지가 없어 불용하고 火로 취용한다. 火의 통력이 충족이 되므로 午화가 용신이고 화를 생하는 목이 희신이니 木火의 官印格에 해당한다. 다만, 濕木은 忌神에 해당한다. 종주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종주는 희신이 되지 않으면 기신이 된다.
用神을 포함한 格과 상생유정한 丁巳운에 과갑하여 벼슬길에 올라 부귀를 누렸다. 용신을 포함한 格과 상극무정한 庚申운에 인신충형으로 파직하였다. 26세 이전에는 막히고 꼬이는 운다. 특히, 18세 후반에 임하면 습토생금하여 갑을 기반하니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26세부터 발복하여 37세부터 48세까지 부귀를 누리며 승승장구하였다.
寅월에 木이 생성하니 금은 불필요하다. 약간의 수분과 온기가 있으면 된다. 특히, 온기가 절실하니 오화의 귀함이 크게 발현되었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천수 事例 134> 정단註 (0) | 2021.02.21 |
---|---|
적천수 事例 133> 정단註 (0) | 2021.02.07 |
적천수 事例 131> 정단註 (0) | 2021.01.24 |
적천수 事例 130> 정단註 (0) | 2021.01.17 |
적천수 事例 129> 정단註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