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日 月 年<적천수 事例>
癸 乙 己 庚
未 亥 卯 寅
乙 甲 癸 壬 辛 庚
酉 申 未 午 巳 辰
此造正合本文成局, 干透官星, 左右皆空, 四柱一無情致, 用財則財會刦局, 用官則臨絶地, 用神無所着落,
爲人少恆一之志, 多遷變之心, 以致家業破耗, 讀書未就而學醫, 醫又不就, 又學堪輿, 自以爲仲景再世,
楊賴復生而人終不信, 又學巫, 學易, 學命, 所學甚多, 不能盡述, 不但一無所就, 而且財散人離, 削髮爲僧矣.
[정단註]
癸 乙 己 庚
未 亥 卯 寅
54 44 34 24 14 4
乙 甲 癸 壬 辛 庚
酉 申 未 午 巳 辰
指數法에 의하면 木이7.3으로 종주임이 분명하니 金을 찾는다. 금이 없어 토를 찾지만 불가하여 화를 찾고 화도 없으니 목을 따른다. 결국 木水用組가 되는데, 寅중에는 火木이 있고 亥중에는 水木이 있어 해수가 보다 용조의 조건을 충족시키니 해수가 용신이 되고 목이 희신이 된다. 용신을 극상하는 운이 대흉하니 巳운에 巳亥충으로 가업을 파하고 천문성이 동하여 의학, 역학, 풍수지리 등을 두루 공부를 했으나 水木운과는 반대로 흘러가니 공부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가족을 떠나 삭발하고 중이 되었다.
용신중심으로 배합을 보면, 계수는 기토의 극을 당하고 해묘미합화하여 변질되니 천격에 해당한다. 사주가 탁해지면 천해진다. 현실의 꽃인 재관에 절지가 임하여 하고자 하는 일에 장애와 잡음이 따른다. 어린시절에 금극목으로 크게 자라지 못하고 뜻은 높으나 생각이 짧았고 변덕이 많았다. 乙亥일주는 山頭火로 절지에 임하고 있어 마음이 급하고 정신이 불안하여 경거망동을 잘한다. 또한 同柱死이니 철학, 의학에 인연이 닿아 글공부를 했지만 가업이 파산되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용신은 뜻과 희망이고 소망인데, 이것이 부서지는 운이기 때문이다. 해수가 천문성이 용신이니 역학을 두루 섭렵했지만 소망과 희망이 부서지는 운이니 아무도 알아주지 않았다. 용신이 망가지는 운을 겪어본 자는 동감을 한다.
많은 공부를 하였지만 능통하지 못하고 술로써 돈이 되지 못한 것은 식상부재탓이다. 식상이 없으면 술이 되지 않아 손님이 오지 않는다. 이러니 재물도 흩어지고 사람도 떠나니 삭발하고 중이 될 수밖에 없었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천수 事例> 용신(用神)이 극설교가(剋洩交加) 되면 고(苦)에 시달린다 (0) | 2020.04.05 |
---|---|
적천수 事例> 가정과 직장이 태평성대 (0) | 2020.03.29 |
적천수事例>범법자(犯法者)가 되고 죽음을 당했던 사주 (0) | 2020.03.15 |
적천수事例>[정단 註] 용신(用神)이 제살(制殺)까지 해주니 아름답다 (0) | 2020.03.08 |
적천수事例>수백억대 부자로 태어났지만 가난고에 시달렸던 사주 (0) | 2020.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