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 日 月 年<적천수事例>
丙 甲 丙 癸
寅 辰 辰 卯
庚 辛 壬 癸 甲 乙
戌 亥 子 丑 寅 卯
此造財旺提綱, 丙食生助, 當以財星爲用, 丙火爲喜, 癸水爲忌, 身旺用財, 遺業十餘萬, 初年水木運, 一敗如灰, 至辛亥運, 火絶木生, 水臨旺, 凍餓而死, 以此觀之, 不論成方成局, 必先察財官之勢, 若財旺提綱, 則以財爲用, 或官得財助, 則以官爲用, 如財不通月支, 官無旺財生, 必須棄其寡而從其衆也. 餘皆倣此.
[정단 註]
丙 甲 丙 癸
寅 辰 辰 卯
56 46 36 26 16 6
庚 辛 壬 癸 甲 乙
戌 亥 子 丑 寅 卯
指數法에 의하면 쉽게 木勢가 종주왕신이 되므로 木體金用으로 금을 찾으나 전무하여 토를 찾는다. 土가 있어 土火用組를 취하고 그중에 火가 용신이 된다. 丙화가 寅에 뿌리를 두고 雙透하니 목이 희신으로 작용하고 토는 약신으로 작용한다. 양투한 병화는 왕한 목을 완전히 설하여 주는 秀氣가 되나 丙화 옆에 계수가 이웃하여 용신이 극상되는 사주배합이니 사주가 貴格에 들지 못한다.
희신운인 甲寅 乙卯운에 화용신을 살리니 초년이라 선대의 유업이 천만금에 이른다. 그러나 癸丑운부터는 수극화하는 운이니 용신이 파극을 당하여 재산이 흩어지고 말았다. 壬子운도 여의치 못하여 가난으로 고생하다 辛亥운에 丙辛합거하니 얼어서 죽게 된다.
辰토가 아닌 戌토였다면 凍死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30세 壬申년에 병화는 극을 당하고 뿌리도 寅申沖去되니 대흉이다. 沖出된 무토재성은 계수인성과 함께 없어져 버린다. 문서를 잘못 다루어 재물이 홀라당 날아가는 형국이니 필시 할아버지가 사기를 당하였을 것이다. 癸수는 할아버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어지는 癸酉년도 병화는 먹구름 뒤로 사라지고 유금은 왕신을 묘목을 충하니 겁재가 격발하여 가진 재산을 모조리 가져간다.
이렇게 많았던 재산을 잃고는 가난의 생활고에 시달렸다. 辛亥운에는 丙火는 절지에 임하고 木은 生地이가 되어 水旺한 운이니 水木凝結로 얼어 죽은 것이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천수事例>범법자(犯法者)가 되고 죽음을 당했던 사주 (0) | 2020.03.15 |
---|---|
적천수事例>[정단 註] 용신(用神)이 제살(制殺)까지 해주니 아름답다 (0) | 2020.03.08 |
적천수事例>배합(配合)이 좋으면 귀하고 배합이 나쁘면 천하다. (0) | 2020.02.23 |
적천수 事例 >합(合)과 해제/ 귀천(貴賤) (0) | 2020.02.16 |
[看命]건강론 (0) | 2020.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