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 환갑 맞아 심은 측백나무
안심료 마당 지키고 서 있고
‘항일 지하조직’ 만당 중심 사찰
80여년 전처럼 고색창연 고찰 내음
내년은 3,1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된다. 1919년 3,1 운동은 일본 식민 통치 반대와 자유 평등 인권의 가치를 지닌 근대시민정부 구성으로 이어져 오늘날 대한민국의 정신적 뿌리로 작용하고 있다. 3,1 독립운동은 불교도 주인공이었다. 이 운동을 조직하고 이끈 주인공은 만해 한용운스님이었다. 1918년 <유심>을 창간하여 다양한 인사들을 접촉했던 만해는 윌슨의 민족자결선언을 접하고 독립운동을 도모한다.
평소 친분이 있던 천주교 최린, 기독교 이승훈 등을 접촉하고 불교대표로 용성스님을 모셨다. 독립선언서를 직접 작성하려 했으나 최린의 권유로 최남선에게 맡기지만 유약하고 독립의지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점에 불만을 품고 공약삼장 마지막 부분을 작성했다. 태화관에서 만세 삼창을 하고 옥고를 치렀으니 3,1운동의 주도자이자 끝까지 변절하지 않고 지조를 지키고 죽기 전 까지 총독부가 있는 곳을 보기 싫다며 북쪽으로 문을 낸 민족 지도자였다.
3, 1 독립운동 이끈 불교
만해는 독립운동 전 날 그가 기거하던 유심사에 효당 최범술, 김법린, 김상호 등 불교중앙학림(동국대학교 전신) 제자들을 불러 각 지방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할 것을 지시하고 독립선언서를 들려 보낸다. 이들은 스승의 뜻에 따라 동래 합천 진주 등 각처에서 3,1 독립운동을 주도하다 일경에 체포돼 혹독한 고문을 당하고 옥살이를 하지만 좌절하지 않고 국내외에서 독립운동과 민족 계몽운동을 이어갔으며, 그 중심지가 사천 다솔사였다.
지난 2월 14일 설을 하루 앞두고 찾은 사천 다솔사는 고즈넉했다. 깔끔하게 다듬은 차 밭과 적멸보궁 주변을 빼면 1970년대로 돌아온 듯 가람은 옛 모습 그대로였다. 교구 소속이 정리되지 않아 사천시가 관리를 맡아 불사를 하지 않은 탓이다. 신라 지증왕 4년(503) 연기조사가 세웠다는 다솔사는 처음 영악사로 불렸다. 선덕여왕 때 다솔사로 개칭되었다가 그 후 한동안 영봉사로 불렸고 신라 말 도선국사에 의해 다솔사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절 앞에 우뚝 서있는 대양루가 천년 고찰 다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대양루 옆으로 난 돌계단을 올라 오른편을 돌아가면 안심료(安心寮)가 나온다. 이 건물만 놓고 보면 절이라기 보다 민가에서 흔히 보는 옛 기와집처럼 친근하다. 대대적인 불사를 하기 전 우리 사찰에서 흔히 보던 건물이다. 툇마루에 앉으면 세 그루의 편백나무가 눈에 들어온다. 만해가 회갑을 맞아 기념으로 심은 나무다. 안심료는 만해가 짓고 기거했던 유서 깊은 건물이다. 이 곳에서 만해와 그 제자들이 독립운동을 모의했다. 6,25 때 불에 타지 않고 용케 버텨 오늘에 이르고 있으니 천만 다행이다.
1931년 만해 제자들 만당 조직3,1 독립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3년여에 걸쳐 옥살이를 하고 1922년 5월 출소한 만해는 언론에 칼럼을 발표하며 민족계몽운동 사회 참여 교육의 필요성 등을 역설하고 민립대학 설립운동, 물산장려운동 등 민족운동에 참여했다. 친일화 된 중앙종무원에 맞서 민족불교, 불교 혁신 계몽운동을 전개했다.
시집 <님의 침묵>을 출판하고 김성수, 조만식, 안재홍, 이광수, 방응모 등 민족주의 계열 인사와 허헌 허정숙 등 공산주의 계열 인사 등을 두루 만나 인맥을 다졌으니 그 힘이 1927년 좌우 합작 신간회 결성으로 이어졌다. 1920년대는 국내의 독립운동 열망과 외국의 압력 등으로 일본이 할 수없이 무력 강압 통치에서 한 발 물러난 시기였다.
만해는 이를 적극 활용해 민족 계몽과 독립의식을 고취하고 나눠져 있던 좌우 인사를 연결하는 고군분투했다. 일제는 그러나 1930년대 들어서면 만주를 침략하고 조선을 무력과 공포 분위기로 몰아넣는다. 만해는 이에 굴하지 않고 조선 독립의지를 꺾지 않았다.
1931년 만든 지하조직 만당도 그 일환이었다. 만당은 ‘목숨 걸고 비밀을 지키고(密限死嚴守), 당의 뜻에 절대 복종한다(黨議絶對服從)’는 서약을 받아 결성된 조직으로, 일체의 기록을 남기지 않았음은 물론 선언이나 강령 일체를 ‘암송(暗誦)’으로 전수했던 비밀결사 단체다. 따라서 조직의 기구나 명단, 구성은 물론 구체적 활동 내용에 관해서도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그러다 만당을 주도했던 이용조(李龍祚) 전 동국대 교수가 1964년 8월30일 자 불교신문 (당시 대한불교)에 ‘내가 아는 만자당(卍字黨) 사건’ 이라는 글을 기고함서 만천하에 그 전모가 공개됐다. 비밀에 묻혔던 만당이 처음으로 세상에 나오던 순간이다. 그는 기고에서 만당의 설립 과정과 활동 과정 해산 등에 관해 이렇게 기록했다.
“나는 조학유·김상호·김법린 3씨와 자주 교우하면서 불교계 현실에 대하여 개탄과 울분을 터뜨리곤 하였다. (중략) 이러한 정세 하에 합법운동으로 소기의 실과(實果)를 거두기는 지난한 환경에 놓여있었다. 그래서 우리 4인은 여러 차례 상의 끝에 순국정신을 가진 동지들을 규합하여 비밀결사를 하기로 합의를 보았다. 1930년 5월경에 우선 4인이 불전(佛前)에 서맹(誓盟)하고 결사를 한 후, 2차로 조은택(趙殷澤)·박창두(朴昌斗)·강재호(姜在浩)·최봉수(崔鳳守) 제씨를 포섭하였으며, 다음 불전(佛專·현재의 동국대) 재학 중인 박영희(朴暎熙)·박윤진(朴允進)·강유문(姜裕文)·박근섭(朴根燮)·한성훈(韓性勳)·김해윤(金海潤) 제씨도 입당시켜 주비리(柱裡)에 창당 선서를 하고 당명을 만당(卍黨)이라 했다.”
만당은 해외에도 조직을 둘 정도였다. 이용조교수는 당시 기고에서 “동경을 위시해 국내 특수지구에 지부를 조직했으며, 제1차 동경지부는 김법린 동지가 책임지고 조직하였다”고 회고했다. ‘만당’의 강령은 ①정교분립(政敎分立) ②교정확립(敎政確立) ③불교대중화 세 가지였다. 강령만 보면 불교 개혁에 비중을 두고 있는 듯 보이지만 참여자 면면을 볼 때 독립운동에 주안점을 두었다. 만해 박영희·김법린·김상호 등이 모두 3·1운동 주도자들이다.
이용조 교수 기고에 의하면 “1932년 봄에는 김법린·허영호·장도환 동지들이 귀국하고 당무도 확장되어 상당한 진용을 갖추게 되었으며, 전체 당원수가 근 80명에 달하기까지 되고 교정(敎政) 운영에도 상당한 잠재력을 갖게 되어, 교무원은 이사를 위시하여 중요 간부들까지도 당의(黨議)로 누구를 내세우자 하면 그대로 성공되기까지 이르렀다”고 말했다. 4~5명으로 출발한 ‘만당’의 규모가 80여명으로 커졌다는 것이다.
민족 교육 사상 지도자들 다수 배출
만당은 지하조직에 머물지 않고 대중운동을 전개할 조직을 만들었는데 ‘조선불교청년총동맹’이 그 역할을 맡았다고 이용조교수는 주장했다. 그러므로 만해가 실질적인 배후로 지하조직 만당을 다솔사에 조직하고 대중조직인 불교청년동맹을 통해 독립운동과 불교 개혁을 주도했다는 것이다.
만당은 내부 이견으로 인해 분열 해체 되고 만해는 1937년 배후자로 검거돼 서대문형무소에 재투옥 되었다가 석방됐으며 서울 사천 진주 합천 해남 양산 등지에서 6차례에 걸친 경찰의 검거 선풍으로 김법린 장도환 최범술 박근섭 박영희 김범부 등이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그 면면들이 모두 불교는 물론 대한민국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남긴 학자요 대문호며 예술가들이다. 물론 그 모두가 민족의 독립을 위해 젊음을 바쳤던 애국자들이다. 그 중 효당은 만해와 더불어 근현대 다솔사에서 가장 중심에 있던 인물이다. 1916년 13세에 사천 다솔사로 출가, 1917년 4월초 해인사 지방 학림에 입학하여 환경스님을 은사로 계를 받은 효당은 1919년 3.1운동 전날, 만해가 불러모은 중앙학림 제자 중 하나로 이 거사에 깊이 참여하고 해인사의 만세운동을 주도했다.
효당은 독립선언서를 들고 초계읍에 가서 삼가장날을 이용 우체국 면사무소 방화, 주재소 습격, 전선. 전화선 차단 등 격렬한 운동을 펼쳤다. 마을 주민의 밀고로 일경에 체포된 효당은 구타와 고문으로 죽음 직전 까지 내몰렸다. 요양을 마치고 해인사 학림에서 학업을 계속하고 일본 다이쇼 대학을 졸업한 후 조선불교청년동맹 중앙집행위원 장으로 활동하며 만당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등 스승 만해처럼 독립운동 의지를 꺾지 않았다.
효당이 해인사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면 김법린은 범어사에 독립선언서를 전달하고 독립운동을 선도했다. 임시정부 요인들과 불교계 민족운동을 논의하고 항일운동에 참여했던 그는 파리 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귀국 후 만당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동양사상의 태두로 미당이 ‘하늘 밑에서는 제일로 밝던 머리’라고 추모했던 김범부가 펴낸 ‘풍류’와 ‘화랑도’ 가 다솔사 안심료에서 태어났다.
김동리가 다솔사에 기거하며 문학을 연마했던 인연도 그의 친형 김범부 때문이었다. 부산에서 사업을 하며 독립운동 자금 조달 기구였던 백산상회의 백산 안희제선생, 백산상회 대주주 문영빈 등도 다솔사를 근거지로 활동했으니 다솔사가 민족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헤아리기 조차 힘들다. 보훈처는 이 안심료를 충혼건물로 지정해 특별 관리한다.
안심료는 충혼 건물 지정
안심료에 앉아 만해가 환갑 때 심었다는 황금편백나무를 올려다 보았다. 1939년 만당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풀려난 효당 김법린 등을 만나러 다솔사로 내려온 만해의 회갑 잔치를 다시 열고 이를 기념하며 심은 나무다. 한참을 올려다 보던 중 주지스님과 만났다. 안심료는 만해가 건립할 당시 그대로 라고 설명했다.
다솔사를 그동안 시가 관리하느라 가람이 어지러웠다며 사격에 맞는 가람으로 정비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어려운 과정에서도 짧은 기간에 많은 성과를 내었다. 그동안 숨어있던 다솔사의 진면목이 세상에 드러나고 민족의 명운과 늘 함께 했던 불교의 역사적 업적도 함께 조명되기를 기대해본다.
'불교유적과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찰에서 만나는 우리역사] 12- 마이산 금당사 (0) | 2019.12.03 |
---|---|
[사찰에서 만나는 우리역사] ⑤논산 관촉사 - 고려광종 왕권 강화 차원 건립 (0) | 2019.11.28 |
[사찰에서 만나는 우리역사] <3> 오대산 월정사 (0) | 2019.11.20 |
[사찰에서 만나는 우리역사] <2> 도봉산 망월사 (0) | 2019.11.15 |
[사찰에서 만나는 우리역사] <1> 가지산 석남사 (0) | 2019.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