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7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조선 설암 추붕선사, 深山竟日無人到~

深山竟日無人到 심산경일무인도
滿地白雲長不掃 만지백운장불소
蝸舍淸幽更寂寥 와사청유갱적요
簷前但聽觀音鳥 첨전단청관음조
깊은 산 왼 종일 찾는 이 없어
뜰에 가득한 흰 구름을 오래토록 쓸지 않네.
풀집은 맑고 그윽하고 또한 적막한데
처마 끝 관음조의 우짖는 소리만 들려오네.
-조선 설암 추붕(雪嵓 秋鵬)선사 1651~1706

도인의 마음 자락이 이 시 한편에 다 젖어있습니다. 걸림이 없는 경계, 생각으로도 마음으로도 무엇 하나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깊은 산 높은 곳에 뜰에는 구름이 안개처럼 펼쳐져 있으나 올 사람도 없으니 걷어낼 필요도 없습니다. 옹색한 움막집 이곳이 선객의 궁궐입니다. 추녀 끝 높은 기와집도 필요 없습니다. 관음조의 노래 소리, 천상에서 울리는 비파소리 같습니다.
선사의 청아한 기품과 거리낌 없는 마음자리를 모두 들어냈습니다. 사족을 붙이면 붙일수록 흠집만 더할 뿐입니다. 부럽지 않습니까? 객도 주인도 없는 텅 빈 산, 시방세계가 잠잠합니다.
[불교신문 2570호/ 10월31일자]

Posted by 백송김실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