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살(神殺)이란?
1. 신살의 유래(由來)
신살은 오성학(五星學, 七政四餘)에서 발생한 것으로 순수정오행으로 판단하는 사주추명학에 영향을 미쳐서 신살론이 대두되었다.
신살은 오성학(五星學, 七政四餘)에서 발생한 것으로 순수정오행으로 판단하는 사주추명학에 영향을 미쳐서 신살론이 대두되었다.
오성학은 몇 단계를 거쳐서 자미두수로 발전하였는데, 오성학은 당나라때 유행하면서 이것이 이허중의 사주추명학에 영향을 미쳤다.
五星學의 고전 : 張果星宗, 星平大成, 星平會海, 三命通會, 기타 七政四餘관련서
五星學의 고전 : 張果星宗, 星平大成, 星平會海, 三命通會, 기타 七政四餘관련서
2. 신살의 원리
넓은 범위로 보면 비견겁재등 十神과 十二運星도 오성학의 七政四餘에서 발원한 것으로 이것을 음양오행으로 분류한 것임.
아래 신살론은 주로 子平粹言(徐樂吾著)을 引用한 것이다.
칠정(七政) : 太陽(日), 太陰(月), 歲星(木), 熒惑(火), 鎭星(土), 太白(金), 辰星(水)
사여(四餘) : 紫氣(木之餘), 月?(水之餘), 羅?(火之餘), 計都(土之餘)
이십팔숙(二十八宿) : 角斗奎井 亢牛婁鬼 ?女胃柳 房虛昻星 心危畢張
사여(四餘) : 紫氣(木之餘), 月?(水之餘), 羅?(火之餘), 計都(土之餘)
이십팔숙(二十八宿) : 角斗奎井 亢牛婁鬼 ?女胃柳 房虛昻星 心危畢張
삼명(三命) : 祿(年干), 命(年支), 身(年柱納音)
신살이란 오행쇠왕생극합형충파해를 표시한 기호이다.
신살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녹마귀인(祿馬貴人)과 장생(長生)이다. 신살은 납음에 따라 衰旺을 판단하고 납음은 年柱(三命)에서 나온다.
신살은 그 발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 간지(干支)에 따른 구분
가. 천간 대 천간 : 십신(十神)
나. 천간 대 지지 : 십이운성(十二運星)
다. 지지 대 천간 : 천덕,월덕등..
라. 지지 대 지지 : 역마전후신살등...
가. 천간 대 천간 : 십신(十神)
나. 천간 대 지지 : 십이운성(十二運星)
다. 지지 대 천간 : 천덕,월덕등..
라. 지지 대 지지 : 역마전후신살등...
(2) 납음오행
金 | 甲子乙丑 해중금海中金, 甲午乙未 사중금砂中金, 壬寅癸卯 금박금金箔金 |
壬申癸酉 검봉금劍鋒金, 庚辰辛巳 백랍금白蠟金, 庚戌辛亥 차천금?釧金 | |
火 | 戊子己丑 벽력화霹靂火, 戊午己未 천상화天上火, 丙寅丁卯 노중화爐中火 |
丙申丁酉 산하화山下火, 甲辰乙巳 복등화覆燈火, 甲戌乙亥 산두화山頭火 | |
木 | 壬子癸丑 상자목桑?木, 壬午癸未 양류목楊柳木, 庚寅辛卯 송백목松柏木 |
庚申辛酉 석류목石榴木, 戊辰乙巳 대림목大林木, 戊戌己亥 평지목平地木 | |
水 | 丙子丁丑 간하수澗下水, 丙午丁未 천하수天河水, 甲寅乙卯 대계수大溪水 |
甲申乙酉 천중수泉中水, 壬辰癸巳 장류수長流水, 壬戌癸亥 대해수大海水 | |
土 | 庚子辛丑 벽상토壁上土, 庚午辛未 노방토路旁土, 戊寅己卯 성두토城頭土 |
戊申己酉 대역토大驛土, 丙辰丁巳 사중토砂中土, 丙戌丁亥 옥상토屋上土 |
(3) 신살의 분류(기원)
分類(起源) | 神殺 |
納音五行 | 學堂, 詞館, 正印, 白虎殺 |
五行臨官 | 玉堂天乙貴人, 文昌星 |
三合局 | 十二神殺 (驛馬, 六厄, 華蓋, 劫煞, 災殺, 天殺, 地殺, 年殺, 月殺, 亡神, 將星, 攀鞍), 咸池 |
方位 | 孤神, 寡宿, 隔角殺 |
四沖 | 暗金的煞 (呻吟, 破碎, 白衣) |
月建 | 天德, 月德, 月將 |
四候 | 進神, 交神, 退神, 伏神 |
日 | 天中殺(空亡), 大敗, 絶路空亡 |
太歲 | 元辰, 大耗, 宅墓, 勾絞, 喪門, 弔客, 病符 |
(4) 명궁(命宮)
신살은 명궁(命宮)을 중시한다. 子宮에서 정월이 되고, 역행으로 생월(生月)에서 멈춘다. 여기에 生時를 놓고 卯에 이를 때까지 순행한다. (자미두수의 명궁과는 다름.)
순행 : 자, 축, 인, 묘... 역행 : 자, 해, 술, 유...
알아두어야 할 것은 월기준이 절기(節氣)가 아니고 전달 중기(中氣)부터라는 것이다.
즉, 정월은 입춘부터가 아니고 대한부터 ~ 우수까지가 정월(1월)로 본다.
신살은 명궁(命宮)을 중시한다. 子宮에서 정월이 되고, 역행으로 생월(生月)에서 멈춘다. 여기에 生時를 놓고 卯에 이를 때까지 순행한다. (자미두수의 명궁과는 다름.)
순행 : 자, 축, 인, 묘... 역행 : 자, 해, 술, 유...
알아두어야 할 것은 월기준이 절기(節氣)가 아니고 전달 중기(中氣)부터라는 것이다.
즉, 정월은 입춘부터가 아니고 대한부터 ~ 우수까지가 정월(1월)로 본다.
(예) 酉年 未月(하지후~대서전) 午時生이라면 未月은 6월이니 子宮에서 시작하여 역행으로 6월을 세면 未宮이 되는데 이것이 태양궁(太陽宮)이다.
이 未宮에 午時를 놓고 순행하면서 卯에 이르면 이것이 명궁이다. 즉, 辰이 命宮.
명궁보는 법은 명궁이 용신희신이면 좋고 기신이면 좋지 않다. 명궁이 녹마,귀인,장생이면 좋고 공망,망신,겁살등 흉신이면 좋지 않다. 사주에 無역마인데 명궁이 역마이면 해외여행한다. 명궁이 도화이면 주색을 좋아한다. 사주에 無재관인데 명궁이 재관이면 좋다.
(명궁계산법1) 장결(掌訣)로 짚어 계산한다.
이 未宮에 午時를 놓고 순행하면서 卯에 이르면 이것이 명궁이다. 즉, 辰이 命宮.
명궁보는 법은 명궁이 용신희신이면 좋고 기신이면 좋지 않다. 명궁이 녹마,귀인,장생이면 좋고 공망,망신,겁살등 흉신이면 좋지 않다. 사주에 無역마인데 명궁이 역마이면 해외여행한다. 명궁이 도화이면 주색을 좋아한다. 사주에 無재관인데 명궁이 재관이면 좋다.
(명궁계산법1) 장결(掌訣)로 짚어 계산한다.
酉年 未月(夏至후~大暑전) 午時生이라면 未月은 6월이니 子의 위치에서 역행(시계반대방향으로 짚음)하여 6번째가 未가 된다. 여기를 午로 정하고 순행(시계방향)하여 卯까지 이르면 辰의 위치가 된다.
(명궁계산법2) 명궁간편계산법 (사주첩경 인용)
① 인(1)묘(2)진(3)사(4)오(5)미(6)신(7)유(8)술(9)해(10)자(11)축(12).
② 기본수 14(수가 14보다 작으면), 26(수가 14보다 크거나 같으면)이다.
③ 寅月 卯時生이라면 인1 + 묘2 = 3인데 14보다 작으니
기본수 14에서 3을 빼면 11이 되는데 子11이 명궁.
(명궁계산법2) 명궁간편계산법 (사주첩경 인용)
① 인(1)묘(2)진(3)사(4)오(5)미(6)신(7)유(8)술(9)해(10)자(11)축(12).
② 기본수 14(수가 14보다 작으면), 26(수가 14보다 크거나 같으면)이다.
③ 寅月 卯時生이라면 인1 + 묘2 = 3인데 14보다 작으니
기본수 14에서 3을 빼면 11이 되는데 子11이 명궁.
(명궁계산법3) 아래 명궁표를 보고 판단한다.
正月寅 대한 ~우수 | 2月卯 우수 ~춘분 | 3月辰 춘분 ~곡우 | 4月巳 곡우 ~소만 | 5月午 소만 ~하지 | 6月未 하지 ~대서 | 7月申 대서 ~처서 | 8月酉 처서 ~추분 | 9月戌 추분 ~상강 | 10月亥 상강 ~소설 | 11月子 소설 ~동지 | 12月丑 동지 ~대한 | |
子時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丑時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時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卯時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辰時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巳時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午時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未時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時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酉時 | 午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戌時 | 巳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亥時 | 辰 | 卯 | 寅 | 丑 | 子 | 亥 | 戌 | 酉 | 申 | 未 | 午 | 巳 |
(5) 십이궁(十二宮) - 五星學에 십이궁이 있으니 신살을 보려면 이를 알아야 한다.
1.명궁(命宮) 2.재백궁(財帛宮) 3.형제궁(兄弟宮) 4.전택궁(田宅宮) 5.남녀궁(男女宮) 6.노복궁(奴僕宮) 7.처첩궁(妻妾宮) 8.병액궁(兵厄宮) 9.천이궁(遷移宮) 10.관록궁(官祿宮) 11. 복덕궁(福德宮) 12.상모궁(相貌宮)
1.명궁(命宮) 2.재백궁(財帛宮) 3.형제궁(兄弟宮) 4.전택궁(田宅宮) 5.남녀궁(男女宮) 6.노복궁(奴僕宮) 7.처첩궁(妻妾宮) 8.병액궁(兵厄宮) 9.천이궁(遷移宮) 10.관록궁(官祿宮) 11. 복덕궁(福德宮) 12.상모궁(相貌宮)
(6) 소한(小限)
소한은 명궁에 연명(年命)을 놓고 역행하여 다시 태세에 이르면 이 곳이 소한이다.
(예) 위에서 酉年 未月(夏至후~大暑전) 午時生은 辰宮이 명궁이었는데 丁丑年의 소한은 酉를 辰에 놓고(장결) 역행(시계반대방향)하여 丑年에 이르면 이곳은 子宮小限이 된다.
소한은 1년의 길흉을 좌우함. 예컨대 사주에 財官이 없는데 태세소한이 財官이라면 좋다.
소한은 명궁에 연명(年命)을 놓고 역행하여 다시 태세에 이르면 이 곳이 소한이다.
(예) 위에서 酉年 未月(夏至후~大暑전) 午時生은 辰宮이 명궁이었는데 丁丑年의 소한은 酉를 辰에 놓고(장결) 역행(시계반대방향)하여 丑年에 이르면 이곳은 子宮小限이 된다.
소한은 1년의 길흉을 좌우함. 예컨대 사주에 財官이 없는데 태세소한이 財官이라면 좋다.
(7) 월건(月建)
월건은 한 달의 길흉을 관장하는 것으로 두가지 설이 있다.
월건은 한 달의 길흉을 관장하는 것으로 두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소한에 生月을 놓고 역행하여 해당월(보고자 하는 월운)에 닿으면 이것이 월건이다. 다른 하나는 소한에 정월을 놓고 역행하여 해당월에 닿는 것이 월건이다. 古法에는 후자로 되어 있다고 함.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상학]인중으로 보는 관상법 (0) | 2017.01.15 |
---|---|
갖가지 신살(神殺)을 논함 1 (0) | 2017.01.08 |
병약용신(病藥用神) (0) | 2016.12.25 |
통관용신(通關用神) (0) | 2016.12.18 |
조후용신(調候用神)을 고찰함 (0) | 2016.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