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인불애격(財印不碍格)
재인불애(財印不碍)란 인수(印綬)와 재(財)가 함께 임하고 있어도 장애가 없다는 의미인데,
인수(印綬)는 길신(吉神)이니 극하면 아니 된다고 하나 인수(印綬)가 태왕(太旺)하면 재(財)가 극하여야 합니다.
재인불애격(財印不碍格)은 인수태왕(印綬太旺)에 재(財)가 용신인 격국을 말하는데,
군뢰신생격(君賴臣生格)이라고도 말합니다.
가령,
戊 甲 壬 壬
辰 子 子 戌
이 명조는 재인불애격(財印不碍格)에 戊土가 용신입니다.
丙 丙 戊 甲
申 寅 辰 寅
이 명조는 재인불애격(財印不碍格)에 申中庚金이 용신입니다.
*재인불애격(財印不碍格)은 유병유약(有病有藥)이니 병약상제격(病藥相濟格)인데,
재(財)가 용신이니 현처(賢妻)를 얻습니다.
*결혼하고 안정을 찾는 사주입니다.
*재인불애격(財印不碍格)은 어머니를 모시고 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 (0) | 2016.03.27 |
---|---|
재자약살격(財滋弱殺格) (0) | 2016.03.20 |
재다신약격(財多身弱格) (0) | 2016.02.28 |
부건파처격(夫健怕妻格) (0) | 2016.02.21 |
득비이재격(得比理財格) (0) | 2016.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