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0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진상관격(眞傷官格)

진상관격(眞傷官格)이란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의 설기(洩氣)로 인하여 일주가 신약(身弱)한 격국을 말합니다.
가령,
 
 
戊   庚   丙   甲
寅   辰   子   申

이  명조는 진상관용인격(眞傷官用印格)에 戊土가 용신입니다.


戊   戊   丁   辛
午   子   酉   卯

이 명조는 진상관용인격(眞傷官用印格)에 丁火가 용신입니다.


癸   癸   乙   戊
亥   卯   卯   午

이 명조는 진상관용겁격(眞傷官用刦格)에 癸水가 용신입니다.


己   戊   辛   癸
未   申   酉   亥

이 명조는 진상관용겁격(眞傷官用刦格)에 己土가 용신입니다.
 
*진상관격(眞傷官格)은 일주를 설상(洩傷)하는 식상(食傷)이 병(病)인데,
진상관격(眞傷官格)에는 진상관용겁격(眞傷官用刦格)과 진상관용인격(眞傷官用印格)이 있습니다.
진상관용인격(眞傷官用印格)은 사주에 병(病)이 있고 식상을 극하는 인수(印綬)가 있으니 약(藥)도 있습니다.
고로 병약상제(病藥相濟)이고 유병유약(有病有藥)입니다.
진상관용겁격(眞傷官用刦格)은 유병무약(有病無藥)입니다.
고로 진상관용겁격(眞傷官用刦格)보다는 진상관용인격(眞傷官用印格)이 훨씬 더 귀격(貴格)입니다.
 

*진상관격(眞傷官格)들은 일주가 신약(身弱)하니 식상이 많다고 할지라도 보편적으로 인색합니다.
 

*같은 진상관격(眞傷官格)중에서는 일주가 신강(身强)에 근접할수록 사주의 그릇이 큽니다.
고로 계선편(繼善篇)에선 ‘일주최의건왕(日主最宜健旺), 용신불가손상(用神不可損傷)’이라고 말하여
 ‘일주는 건왕한 것이 가장 마땅하고, 용신은 손상하여서는 아니 된다’라고 이야기하였습니다.


'역학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득비이재격(得比理財格)  (0) 2016.02.14
재명유기격(財命有氣格)  (0) 2016.02.01
가상관격(假傷官格)  (0) 2015.12.20
격국(格局)에 대하여 고찰함  (0) 2015.12.13
격국(格局)의 분류  (0) 2015.12.06
Posted by 백송김실근
|